독서

[경제] 마흔살 경제적 자유 프로젝트 - 박상태

뚠빵 2022. 7. 30. 13:07





3년만에 월 2천만원의 파이프라인을 만든 비밀

저자는 10년 넘게 부동산 펀드매니저로
살았지만 이 직업이 '평생 직업'은 아니라는
생각을 막연히 갖고 있엇다

그래서 직장 생활을 하는 동안 제 2의 인생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월마다 들어올 일정한 현금흐름을
만들고(투자계획),
퇴사 후에 무슨일을 하며 살지(사업 계획)에
대한 목표를 정하고
3년동안 그 계획들을 실천했다.


그리고 실제로 3년이 조금 지난 시점에 상가 및
아파트 투자 , 원룸 신축,
태양광 발전사업, 강의 등을 통해 월 2천만 원의 현금흐름을 만든 후 퇴사했다.


목표 설정하기
좋아하는 일 적기 또는 싫어하는 일 적기
누군가는 좋아하는 일을 적는 것이 목표설정에
더 도움이 될수 있다. 더많이 더빨리 생각나는 것들을 적어보라.

나열한 것들을 쭉 보다보면 여러가지 생각이 들것이다.
이전까지 인식하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이
보이면서 스스로가
어떤 사람이지 대강 파악하게 된다.


목표 가이드라인
1. 철학적인 주제로 빠지지 말라
2. 롤모델을 찾는다.
3. 좋아하는 일보다 잘 하는 일에서 목표를 찾는다.
4. 목표가 반드시 일과 관련될 필요는 없다.

( 저자는 경제적 자유가 가장 중요한
목표였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너무 거창한 목표를 떠올리지 않아도 좋다.
월에 얼마를 벌고, 자산이 얼마가 돼야
한다는 그런 목표가 아니어도
괜찮다. 인생에서 의미가 있는 나만의
목표를 정해 차근차근 해보는것도 좋다)


장기적인 목표가 정해졌다면 단기목표를 세우기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하고 행동지향적이고 현실적이며
기한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1. 목표를 3등분한다
예시로 3년내 60억을 모으는게 목표라면
1년차에는 20억 2년차에는 40억 3년차에는 60억
2. 초반목표는 낮게 후반 목표는 높게

목표는 숫자로 명확하게
[강제성 이론] - 예 1년뒤 월 1,000만원의 수익을 낼 아이디어를 블로그에 오늘밤까지 작성하기

' 간접 경험 '
대표적인 간접경험으로는 독서가 있고 , 또 다른 하나는 나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저자는 부동산 투자관련 강의를 주망레 들었는데, 강사가 권유한 스터디 모임에서 마음이 맞는 사람과 만나 새로운 분야의 사람들로 부터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를 낼수 있었다.

무엇이든 시작하라
대신 어차피 잘 안될거니까, 너무 실망하진 말자
잘 안되는게 정상이고 상식이다
잘 ㅇ나된느 순간이 오면 실망하지 말고
이유를 찾아 수정하면 된다.
그리고 다시해보자.
참고 딱 세번만 더해보자
세번만 수정하면 좋은 방법을
찾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요즘 보고있는 월부 재테크 TV ,
경제적 자유를 이룬 사람들이
쓴 책 등을 보면서 공통점을 찾게 된거같다
그들이 강조하는것 첫번째 독서 , 글쓰기 ,
일단 시작하라

마찬가지로 이 책 저자역시 독서를 꾸준히 했고
에버노트에 떠오르는 아이디어 생각 등을 기록해왔다

무언가 실천하기전에 완벽한 계획을
하기보단 일단 시작하고
그 후에 수정 하면서 점진적으로
완성시켜나가는것 또한
동일하다


책 속 예시중 퍼스널컬러 사업을
시작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는데 그녀가 기존에 준비하던 사업이
아직 완벽한 준비가
되지 않았을때 사업방향과 다른 제안이 들어
왔는데, 오히려 실행결과는 그녀가
준비하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소비자층이 더 많아 엉뚱한
시간낭비를 막을수 있었던 사례가 있다.
그녀가 만약에 완벽한 준비를 하고
시작했더라면 ? 준비하는 동안의
시간이라는 기회비용을
몽땅 날릴수도 있었을 것이다.

책을 읽기전에는 저자의 스펙에 관심이 없었는데
티스토리에 포스팅하려고 보니
Y대 MBA 과정까지 수료..
스펙만큼은 정말 화려하다는 생각도 들었고
그만큼 잘하는 분야를 더 빨리 찾을수 있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
무엇보다 본인도 인정하는게 운도 따라준 부분

저자가 기존에 하던 일이
부동산투자 관련이 아니었다면?
이란 생각도 안드는건 아니다

모두가 동등한 상황에서 투자를 시작하는게
아니지만 내 생각에 저자는 본인이 갖고
있는 장점을 잘 활용했기 때문에
남들보다 더 짧은 시간내에 성공할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저자와 동일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중에도
여전히 본인이 빠져나오고 싶어도 빠져나오지 않고
살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결국 내 상황에 맞게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고
실행하는것이 중요한거같다.